- 사연댐 - 나무위키
울산광역시 울주군 범서읍 사연리에 위치한 용수댐 상세 1962년 10월 에 착공하여 1965년
- 사연댐(泗淵dam) -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
이 댐은 1962년부터 1965년 사이에 태화강의 지류인 대곡천 수계의 물을 얻기 위해 건설된 어스 필 댐 (earth fill dam)으로, 높이 46m, 길이 300m이다 유역 면적 124 5㎢, 홍수위 63 2m, 만수위 60m, 저수위 45m이고, 저수 총량 2500만㎥, 유효량 2000만㎥이며 용수 공급은 3600만㎥이다 이 댐은 울산공업단지의 확장에
- “사연댐 수위·관광 인프라 시급”…첫 공개 회의 열려 KBS 2025. . . .
“사연댐 수위·관광 인프라 시급”…첫 공개 회의 열려 KBS 2025 08 02 KBS News 3 39M subscribers Subscribe
- 울산 반구대암각화 보존 사연댐 여수로 수문 2025년 착공
환경부는 '사연댐 적정성 재검토'가 통과됨에 따라 기본 및 실시설계 용역 등의 후속조치에 들어가 오는 2025년에는 공사 착공에 들어간다는 방침이다 국내에서 기존댐에 추가로 수문을 설치하는 경우는 사연댐 여수로 수문 설치가 첫 사례로 꼽힌다
- 한국대댐회
사연댐 사연댐은 울산광역시 울진군에 위치하고 있으며, 댐 높이는 46m, 길이는 300m, 저수용량은 2천 5백만㎥이다 사연댐은 1962년 10월에 착공하여 1965년 12월에 완공하였다
- 울산 울주군 언양읍, 사연댐에 방문하다 (범서읍 사연리泗淵里)
3일 연휴 (3월 1일~3월 3일)기간 첫날에 방문한 곳은 울산 울주군 언양읍에 소재하고 있는 사연댐, 그 사연댐에 자리하고 있는 범서읍 사연리 (泗淵里)에 다녀왔다
- 세계유산 되자마자 취소 위기?…울산 암각화 위협하는 사연댐
세계유산위는 암각화센터의 운영 보장, 개발계획 보고 등 조건에 더해 '사연댐 공사의 진척 상황을 보고하라'는 권고를 우리나라에 보냈다
- 반구대암각화 보존 등을 위한 사연댐 기본계획 변경 - 정책브리핑
사연댐 수문 설치를 통해 반구대암각화 침수 예방 지진 등 비상 상황 시 신속한 댐 수위 조절 및 내진성능 향상환경부 (장관 한화진)는 울산시 반구대암각화 보존과 댐 안전성 강화가 포함된 ‘사연댐 건설사업 기본계획 (변경)’을 4월 19일에 고시한다고 밝혔다
|